희진Go!

Email : heejin_go@naver.com / Insta : @ggame.mag

DB 4

[MSSQL] 데드락(DeadLock) 발생 원인 및 해결 방안

1. 데드락이란?Deadlock(교착 상태)이란,두 개 이상의 세션이 서로 상대방이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기다리면서 무한 대기 상태에 빠지는 현상을 말합니다.SQL Server는 이를 감지하면 그 중 하나의 트랜잭션을 강제로 종료시켜 다른 트랜잭션이 계속 진행되도록 합니다. 2. 데드락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2-1. 테이블 접근 순서 불일치트랜잭션 A: 테이블 1 → 테이블 2트랜잭션 B: 테이블 2 → 테이블 1→ 순서가 엇갈리면 데드락 가능성 UP 2-2. 긴 트랜잭션 시간트랜잭션 안에 사용자 입력, 네트워크 대기 등이 포함되어 잠금이 길게 유지됨 2-3. 인덱스 미비로 인한 전체 테이블 스캔WHERE절이 인덱스를 타지 않으면 많은 레코드에 잠금이 걸림 2-4. 읽기에도 잠금 발생기본 격리 수준..

DB 2025.05.29

[DB] 트랜잭션 - 타임 스탬프, 병행 제어, 로킹 단위

병행은 매우 빠르게 여러 트랜잭션 사이를 이동하면서 조금씩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마치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것 병행제어는 트랜잭션이 병행 수행될 때 트랜잭션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고, 다른 트랜잭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것 병행 제어의 목적 - 데이터베이스의 공유를 최대화 - 시스템 활용도를 최대화 -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유지 - 사용자에 대한 응답 시간을 최소화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로킹은 트랜잭션이 접근하려는 데이터를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병행제어 기법 상호배제(Mutual Exclusive)기능 제공하여 독점적으로 데이..

DB 2023.03.04

[DB]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(DBMS)

file system의 문제점 1. 데이터 중복성 (저장 공간 낭비, 무경성, 일관성 어려움) 2. 데이터 종속성 (file 변경 시 응용프로그램도 변경 필요) 3. 동시 공유, 보안, 회복 기능 부족 위와 같은 file system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 = DBMS DBMS의 기능 1. 정의 기능 (DB 구조 정의, 수정) 2. 조작 기능 (Data 삽입, 수정, 검색) 3. 제어 기능 (정확, 안전)

DB 2021.11.02

[DB] 데이터베이스 개념

DB(DataBase) =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 DB의 특징 1. 실시간 접근 :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에 실시간으로 응답 2. 계속 변화 : 정확한 데이터 유지 3. 동시 공유 : 데이터 동시 사용 지원 4. 내용 기반 참조 : 주소나 위치가 아닌 내용 참조 DB분류 1. 정형데이터 : 구조화된 데이터 2. 반정형데이터 : 데이터 내용 안에 구조 및 설명이 존재 ex)HTML 3. 비정형데이터 : 구조가 없이 저장되는 데이터 ex)멀티미디어 데이터 처음 쓴 나의 게시글 굉장히 어색하고 어떻게 정리하여 전달해야 할지 고민되지만 하다보면 알겠지ㅋㅋㅋ!!

DB 2021.10.26